-
Container Service AWS ECS vs k8sInfra & Tools/Docker&K8s 2022. 8. 4. 21:56
Container service 인 aws ECS 와 Kubernetes 를 비교하는 글이다.
이번 주의 목표는 로컬 머신에서 올린 컨테이너를 aws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행을 해보는것이다.
일단 도커 스터디 이지만 필요한 개념으로는 클라우드 지식이 부족하다라는 것을 느낀다.
Ec2 는 aws 에서 제공하는 가상 환경의 Vm 이라 이해 했으며 정확한 명칭은 Elastice Compute Cloud 이다.
지금까지 이해한 바로는 EC2 에 인스턴스 라는 것을 생성을 하여 필요한 사양을 설정을 하고 로컬 머신처럼 운영을 한다는 점이다.
이는 물리적으로 개인의 컴퓨터로 서버를 24시간 켜둘 수 없는 환경과 개인의 손쉬은 서버를 만들고 배포를 도와 주는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이해를 하였다.
EC2 와 ECS 를 비교를 하자면 ECS 는 컨테이너 관리를 도와 주는 서비스를 쉽게 제공하는 ec2이다.
EC2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배포를 한다고 하여도 이미지가 변경되거나 간단 한 코드의 수정으로 도커 이미지를 rebuild 이후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로컬 환경과의 차이 가 없다 이러한 귀찮은 작업을 aws service 애 위임을 하여 어느정도의 개발자의 쉬운 배포를 위해
도커 업데이틀 쉽게 도와주는 것이 AWS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 이다 .
( 요즘 핫 한 CI/CD) 에 관련이 있다고 이해를 하면 편하다 .
도커를 EC2 에 올릴려고 하는데 기존에서 하던 로컬 머신에서 올리는 방식과 동일 하여 작성하지 않았다.
aws 는 도커를 위한 서비스인 ECS Elastic computer service 를 사용하는 게 맞다.
그러나 이도 지금의 상황성 k8s 를 사용하는 시국이니.. 빠르게 쿠바네티스를 학습 하는걸 추천한다.
gradlew: Permission denied
Java build error 중 ,,,
-bash: ./gradlew: Permission denied
파일의 권한이 없어 생기는 문제 간단하게 구글링 후 다음 명령어를 찾았다.
$ chmod +x gradlew
시스템 프로그래밍 시간에 리눅스 관련 수업에서 배웠지만,,, 다시 복습해야겠다.
'Infra & Tools > Docker&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EFS and k8s (0) 2022.08.18 로드벨런서 역할 및 특징 (0) 2022.08.18 Docker-Network 기초 (0) 2022.07.14 Docker - Command (0) 2022.07.09 Docker 왕왕 기초 예제 (0) 2022.07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