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[chpt 5,6]ProgrammingTheory/OOP 2023. 3. 24. 17:35
- 이 글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리뷰를 위한 메모 글이며, 공부 목적을 위한 노트 입니다. 글은 4월 초에 완성합니다.
chpt 5 책임과 메시지
chpt 5 point :
- 메시지가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.
- 메시지를 중심으로 생각을 하자.
-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다른 객체의 메시지를 보내고 , 메시지를 통해서만 다른 객체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.
ISP 예시 :
인터페이스를 나누는 케이스
King. → message(증언하라) → Alice
King. → message(증언하라= message name ) → Alice
- 자신의 의지에 따라 증언 할 수 있는자유
왕의 증언하라 라는 메시지 vs 목격했던 장면을 떠올려라 메시지
class A a = new A() ;
→ a.speakInCoart()
→a.speakInCoartSeen(Detail detail)
메시지가 상세한 수준일 수록 자율성이 떨어진다.
너무 추상적인것?
a.speak()
메시지의 인자를 추가 적인 정보 → argument
객체가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가 객체를 선택해야한다.
- what/ who 싸이클 : 같은 말,, 행위 먼저 생각
메시지가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.
→ DIP
Q :
객체가 자신이 수신할 메시지를 결정 하게 하지 말고 메시지가 협력에 필요한 객체를 발견해야 한다?
Q: pg 164 ,pg 166
객체가 다른 객체에 접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메시지 전송이다.
메시지 → 인터 페이스 : 그럼 인터페이스를 전부 만드는가 ?
이상 적으로 ㅇㅇ 현실은 고려,,
'ProgrammingTheory > O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객체지향이란 ? 객체지향 특징 4가지 (0) 2023.04.07 RDD & SOLID 원칙 [오브젝트 chpt 3] (0) 2023.03.31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[chpt 3,4] (0) 2023.03.24 상속은 인터페이스 상속을 위해 사용 되어야 한다.[오브젝트 chpt 2] (0) 2023.03.24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[chpt 1,2] (0) 2023.02.25